
텐서(Tensor)는 인공지능(AI), 특히 딥러닝에서 데이터를 표현하고 연산하는 핵심 수학적 객체다. 스칼라, 벡터, 행렬을 일반화한 개념으로, 고차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이 글에서는 텐서의 정의, 특성, AI에서의 역할, 그리고 수학적 원리를 정리한다.
1. 텐서의 정의
텐서는 다차원 배열로, 차수(Rank)에 따라 분류된다:
- Rank 0: 스칼라 (예: 5, 단일 숫자).
- Rank 1: 벡터 (예: [1, 2, 3], 1차원 배열).
- Rank 2: 행렬 (예: [[1, 2], [3, 4]], 2차원 배열).
- Rank 3 이상: 고차원 텐서 (예: 3D 배열은 [높이, 너비, 채널]).
수학적으로, 텐서는 다중선형 대수 객체로, 좌표계에 독립적으로 정의되며, 선형 변환과 연산을 지원한다. AI에서는 주로 다차원 배열로 구현된다.
2. 텐서의 특성과 연산
- 차원(Shape): 텐서의 구조를 정의. 예: (3, 4, 2)는 3x4x2 크기의 3차원 텐서.
- 데이터 타입: 실수(float32), 정수(int64) 등으로 저장.
- 주요 연산:
- 덧셈/뺄셈: 동일 차원의 텐서 간 요소별 연산.
- 텐서 곱: 행렬 곱의 일반화 (예: ( C_{ijk} = \sum A_{ijl} B_{ljk} )).
- 내적/외적: 벡터 유사성 계산이나 고차원 변환.
- 리셰이핑(Reshaping): 텐서의 차원을 재구성 (예: (4, 6) → (2, 12)).
3. AI에서 텐서의 역할
텐서는 AI, 특히 딥러닝에서 데이터와 모델의 핵심 구성 요소다:
- 데이터 표현: 이미지(3D 텐서: 높이×너비×채널), 텍스트(2D 텐서: 문장×임베딩), 시계열(2D 텐서: 시간×특징).
- 모델 파라미터: 신경망의 가중치와 편향은 텐서로 저장.
- 연산 효율성: 텐서 연산은 GPU/TPU에서 병렬 처리로 최적화.
3.1. 데이터 표현
- 이미지: 컬러 이미지는 (높이, 너비, 3) 텐서로, RGB 채널을 포함.
- 텍스트: 단어 임베딩은 (배치 크기, 시퀀스 길이, 임베딩 차원) 텐서.
- 비디오: (프레임, 높이, 너비, 채널)로 4D 텐서.
3.2. 신경망 연산
신경망은 텐서를 입력으로 받아 가중치 텐서와 연산 후 출력 텐서를 생성:
- 가중합: ( z = Wx + b ), 여기서 ( W ), ( x ), ( b )는 텐서.
- 활성화 함수: ReLU, 소프트맥스는 텐서의 각 요소에 적용.
- 역전파: 손실 함수의 기울기를 텐서로 계산해 가중치 업데이트.
4. 수학적 원리
- 선형 대수: 텐서는 벡터 공간의 일반화로, 선형 변환(행렬 곱)으로 데이터를 매핑.
- 미분: 손실 함수에 대한 텐서의 기울기(Gradient Tensor)를 계산해 최적화.
- 고차원 연산: 합성곱(Convolution), 풀링(Pooling)은 텐서의 지역적 패턴을 추출.
예: 합성곱 신경망(CNN)에서 커널(3x3 텐서)이 이미지 텐서와 합성곱 연산을 수행해 특징 맵(Feature Map) 생성: [ \text{Output}{i,j} = \sum_m \sum_n \text{Input}{i+m,j+n} \cdot \text{Kernel}_{m,n} ]
5. 실제 응용 사례
- 컴퓨터 비전: CNN에서 이미지(3D 텐서)를 처리해 객체 인식(예: ResNet).
- 자연어 처리: 트랜스포머(BERT)에서 단어 임베딩 텐서를 처리해 문맥 이해.
- 강화학습: 상태와 행동을 텐서로 표현해 정책 학습.
- 추천 시스템: 사용자-아이템 상호작용을 텐서로 모델링(예: 텐서 분해).
6. 도전 과제
- 계산 복잡도: 고차원 텐서는 메모리와 계산 자원을 많이 소모.
- 차원 관리: 잘못된 차원 설정은 오류를 유발.
- 해석 가능성: 고차원 텐서의 내용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움.
7. 결론
텐서는 AI 수학의 기본 구성 요소로, 데이터를 표현하고 신경망 연산을 가능케 한다. 스칼라, 벡터, 행렬을 일반화한 텐서는 고차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며, CNN, 트랜스포머, 강화학습에서 핵심적이다. 텐서의 수학적 원리를 이해하면 모델 설계와 최적화가 가능하며, 이는 AI의 핵심 언어다.
'인공지능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I 모델 평가를 위한 통계적 기법 (0) | 2025.08.10 |
|---|---|
| 강화학습의 수학적 기초: MDP와 벨만 방정식 (0) | 2025.08.09 |
| 몬테카를로 방법 : AI와 확률적 접근 (0) | 2025.08.07 |
| AI에서 그래프 이론의 활용 사례 (0) | 2025.08.06 |
| 신경망의 활성화 함수 (1) | 202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