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은 모델의 신뢰성과 실용성을 보장하는 핵심 과정이다. 통계적 기법은 모델의 예측 정확도, 일반화 능력, 불확실성을 정량화하며, 과적합이나 편향을 검출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 글에서는 AI 모델 평가를 위한 주요 통계적 기법을 분류, 회귀, 모델 비교, 유효성 검증으로 나누어 정리한다. 주요 내용은 최근 연구와 자료를 기반으로 한다.
1. 분류 모델 평가 기법
분류 모델(예: 이진, 다중 클래스)은 혼동 행렬(Confusion Matrix)을 기반으로 평가된다.
주요 지표
- 정확도(Accuracy): 전체 예측 중 올바른 비율.
공식: (\text{Acc} = \frac{\text{TP + TN}}{\text{TP + TN + FP + FN}}) (TP: True Positive, TN: True Negative, FP: False Positive, FN: False Negative). - 정밀도(Precision): 양성 예측 중 실제 양성 비율.
공식: (\text{Pre} = \frac{\text{TP}}{\text{TP + FP}}). - 재현율(Recall/Sensitivity): 실제 양성 중 예측된 양성 비율.
공식: (\text{Rec} = \frac{\text{TP}}{\text{TP + FN}}). - F1-Score: 정밀도와 재현율의 조화 평균.
공식: (\text{F1} = \frac{2 \cdot \text{Pre} \cdot \text{Rec}}{\text{Pre + Rec}}). - ROC-AUC: ROC 곡선 아래 면적, 모델의 분류 능력을 평가.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우수.
- Matthews Correlation Coefficient (MCC): 상관 계수로, 불균형 데이터에 강함.
공식: (\text{MCC} = \frac{\text{TN \cdot TP - FN \cdot FP}}{\sqrt{(\text{TP + FP})(\text{TP + FN})(\text{TN + FP})(\text{TN + FN})}}).
다중 클래스에서는 매크로/마이크로 평균을 사용한다.
2. 회귀 모델 평가 기법
회귀 모델은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측정한다.
- 평균 제곱 오차(MSE): 오차 제곱의 평균.
공식: (\text{MSE} = \frac{1}{n} \sum (y_i - \hat{y}_i)^2). - 평균 절대 오차(MAE): 오차 절대값의 평균.
공식: (\text{MAE} = \frac{1}{n} \sum |y_i - \hat{y}_i|). - 결정 계수(R²): 모델이 데이터 변동성을 얼마나 설명하는지.
공식: (R^2 = 1 - \frac{\sum (y_i - \hat{y}_i)^2}{\sum (y_i - \bar{y})^2}).
3. 모델 비교를 위한 통계적 검정
모델 간 성능 차이를 검증한다.
- McNemar’s Test: 분류 모델 비교, 오분류 차이를 검정.
공식: (\chi^2 = \frac{(|b - c| - 1)^2}{b + c}) (b, c: 모델 간 오분류 수). - DeLong Test: AUC 비교.
Z-통계량을 사용해 정상 분포 가정. - 카이 제곱 검정(Chi-Square Test): 모델 적합도 평가.
공식: (\chi^2 = \sum \frac{(O_i - E_i)^2}{E_i}).
4. 유효성 검증 기법
모델의 일반화 능력을 평가한다.
- 교차 검증(Cross-Validation): 데이터를 k-폴드로 나누어 학습/평가 반복.
-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데이터를 재샘플링해 파라미터 변동성 추정.
- 정보 기준(AIC/BIC): 모델 복잡도와 적합도 균형.
AIC: (2k - 2\ln(L)), BIC: (k \ln(n) - 2\ln(L)) (k: 파라미터 수, L: 우도, n: 샘플 수). - 잔차 분석(Residual Analysis): 잔차 플롯으로 모델 가정 검증.
이 기법들은 편향 감소, 불확실성 정량화, 모델 비교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의료 AI에서는 MCC와 AUC가 신뢰성을 높인다. 통계적 평가를 통해 AI 모델의 신뢰성을 강화하자. <grok:render card_id="ab6a47" card_type="citation_card" type="render_inline_citation"> 0</grok:render> <grok:render card_id="6e3909" card_type="citation_card" type="render_inline_citation"> 1</grok:render> <grok:render card_id="726dcd" card_type="citation_card" type="render_inline_citation"> 9</grok:render>
'인공지능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보 이론과 AI 엔트로피정보 이론과 AI 엔트로피 (0) | 2025.08.12 |
|---|---|
| 선형 회귀부터 딥러닝까지: 수학적 여정 (2) | 2025.08.11 |
| 강화학습의 수학적 기초: MDP와 벨만 방정식 (0) | 2025.08.09 |
| 텐서란 무엇인가 : AI 수학의 기본 구성 요소 (0) | 2025.08.08 |
| 몬테카를로 방법 : AI와 확률적 접근 (0) | 2025.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