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은 딥러닝의 핵심이며, 그 동작은 행렬 연산에 기반한다. 행렬 연산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모델의 학습과 예측을 가능케 한다. 이 글에서는 신경망의 동작 원리를 행렬 연산 관점에서 정리한다.
1. 신경망의 기본 구조
신경망은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으로 구성된다. 각 층은 뉴런(노드)으로 이루어지며, 뉴런 간 연결은 가중치(Weights)로 표현된다. 입력 데이터는 가중치와 행렬 연산을 통해 변환되며, 활성화 함수를 거쳐 다음 층으로 전달된다. 이 과정은 행렬 연산으로 간결하게 표현된다.
2. 행렬 연산의 역할
행렬 연산은 신경망의 계산을 간소화하고, 대규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주요 연산은 다음과 같다:
- 행렬 곱: 입력과 가중치 간 연산으로, 신경망의 핵심 변환.
- 벡터 덧셈: 편향(Bias)을 추가해 모델의 유연성을 높임.
- 활성화 함수: 비선형성을 추가해 복잡한 패턴 학습.
2.1. 입력과 가중치의 행렬 곱
신경망의 한 층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z = Wx + b ]
- ( x ): 입력 벡터(예: ([x_1, x_2, \dots, x_n])).
- ( W ): 가중치 행렬(각 뉴런의 가중치를 포함).
- ( b ): 편향 벡터.
- ( z ): 가중합(Weighted Sum).
예를 들어, 입력이 3차원 벡터이고 은닉층 뉴런이 4개라면, ( W )는 ( 4 \times 3 ) 행렬, ( x )는 ( 3 \times 1 ) 벡터, ( b )는 ( 4 \times 1 ) 벡터다. 행렬 곱 ( Wx )는 각 뉴런의 가중합을 계산한다.
2.2. 활성화 함수
가중합 ( z )는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를 거쳐 비선형적으로 변환된다: [ a = \sigma(z) ]
- ( \sigma ): ReLU, 시그모이드, 탄젠트 하이퍼볼릭(tanh) 등.
- ( a ): 다음 층의 입력이 되는 활성화 값.
활성화 함수는 행렬 연산 후 적용되며, 벡터의 각 요소에 개별적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ReLU는 ( \sigma(z) = \max(0, z) )로 음수를 0으로 변환한다.
3. 다층 신경망과 행렬 연산
다층 신경망(MLP)은 여러 층을 순차적으로 연결한다. 각 층은 행렬 연산으로 표현된다:
- 첫 번째 층: ( z_1 = W_1 x + b_1 ), ( a_1 = \sigma(z_1) ).
- 두 번째 층: ( z_2 = W_2 a_1 + b_2 ), ( a_2 = \sigma(z_2) ).
- 출력층: ( z_L = W_L a_{L-1} + b_L ), ( \hat{y} = \sigma(z_L) ).
여기서 ( W_i ), ( b_i )는 각 층의 가중치 행렬과 편향 벡터다. 이 연산은 행렬 곱과 벡터 덧셈으로 효율적으로 처리된다.
4. 학습 과정: 역전파와 행렬 연산
신경망은 손실 함수(Loss Function)를 최소화하도록 학습한다. 손실 함수(예: 평균제곱오차, 크로스엔트로피)는 예측값 ( \hat{y} )와 실제값 ( y )의 차이를 측정한다. 학습은 역전파(Backpropagation)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행렬 연산에 기반한다.
4.1. 손실 함수의 기울기
손실 함수 ( L )에 대한 가중치 ( W )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frac{\partial L}{\partial W} ] 이는 체인 룰(Chain Rule)을 사용해 출력층에서 입력층으로 기울기를 전파한다. 예를 들어, 출력층의 기울기는: [ \delta_L = \frac{\partial L}{\partial z_L} = \frac{\partial L}{\partial \hat{y}} \cdot \sigma'(z_L) ] 이후 각 층의 기울기는 행렬 연산으로 계산된다: [ \delta_{l-1} = (W_l^T \delta_l) \cdot \sigma'(z_{l-1}) ] [ \frac{\partial L}{\partial W_l} = \delta_l a_{l-1}^T ]
4.2. 가중치 업데이트
기울기를 사용해 가중치를 업데이트한다: [ W_l = W_l - \eta \cdot \frac{\partial L}{\partial W_l} ] 여기서 ( \eta )는 학습률이다. 이 과정은 행렬 연산으로 병렬화되어 GPU에서 효율적으로 실행된다.
5. 실제 응용 사례
행렬 연산은 다양한 딥러닝 응용에서 핵심적이다:
- 컴퓨터 비전: CNN은 컨볼루션 연산을 행렬 곱으로 구현해 이미지 특징을 추출.
- 자연어 처리: 트랜스포머 모델은 어텐션 메커니즘을 행렬 곱으로 계산.
- 추천 시스템: 사용자-아이템 행렬을 분해해 잠재 요인을 학습.
6. 행렬 연산의 장점
- 효율성: 행렬 연산은 병렬 처리가 가능해 대규모 데이터와 모델을 빠르게 처리.
- 간결성: 복잡한 신경망 계산을 간단한 행렬 연산으로 표현.
- 확장성: 다층, 고차원 모델에서도 일관되게 적용.
7. 결론
행렬 연산은 신경망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핵심 열쇠다. 입력 데이터와 가중치 간 행렬 곱은 신경망의 변환을, 역전파는 학습을 가능케 한다. GPU와 같은 하드웨어는 행렬 연산을 가속화해 딥러닝의 대규모 계산을 실현한다. 신경망을 깊이 이해하려면 행렬 연산의 기초를 숙지해야 하며, 이는 AI의 계산적 언어다.
'인공지능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확률 분포로 풀어보는 머신러닝의 비밀 (2) | 2025.08.01 |
|---|---|
| AI와 벡터 공간: 데이터의 기하학적 해석 (1) | 2025.08.01 |
| 인공지능에서 최적화 알고리즘의 중요성 (1) | 2025.07.31 |
| 확률과 통계: AI 모델의 심장 (0) | 2025.07.30 |
| 딥러닝을 뒷받침하는 미적분 기초 (0) | 2025.07.30 |